두 개 카톡 계정 동시 접속? 카카오톡 PC버전 2개 띄우는 ‘초간단’ 방법!
목차
- 시작하며: 왜 카카오톡 PC버전 2개 동시 접속이 필요할까요?
- 방법 1: 샌드박스(Sandbox) 프로그램을 활용한 듀얼 접속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방법)
- 2.1. 샌드박스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 2.2. 카카오톡 실행 파일 경로 확인
- 2.3. 샌드박스로 카카오톡 ‘가상화’ 실행
- 2.4. 두 번째 계정 로그인 및 사용
- 방법 2: 포터블(Portable) 버전 파일과 일반 설치 버전 활용 (매우 쉽지만 별도 파일 관리 필요)
- 3.1. 카카오톡 포터블 버전 파일 준비
- 3.2. 일반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 3.3. 포터블 버전 실행 파일 실행
- 3.4. 각 버전별 계정 로그인 및 사용
- 마무리: 나에게 맞는 카카오톡 듀얼 접속 방법 선택하기
시작하며: 왜 카카오톡 PC버전 2개 동시 접속이 필요할까요?
업무용 계정과 개인용 계정을 분리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혹은 부계정이나 오픈 채팅 전용 계정을 메인 계정과 동시에 모니터링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는 앱 복제 등을 통해 듀얼 메신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카카오톡 PC버전은 기본적으로 한 컴퓨터에서 하나의 계정만 로그인을 허용합니다. 메인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다시 부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번거로움은 업무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카카오톡 PC버전 2개를 매우 쉬운 방법으로 동시에 띄워 두 계정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 두 가지를 지금부터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복잡한 시스템 설정 변경이나 위험한 핵(Hack)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안전하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샌드박스(Sandbox) 프로그램을 활용한 듀얼 접속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방법)
샌드박스는 컴퓨터 시스템 내에 격리된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그 공간 안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기술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마치 두 대의 컴퓨터에서 각각 카카오톡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가장 안정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2.1. 샌드박스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안정적인 무료 샌드박스 프로그램 중 하나인 ‘Sandboxie’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겠습니다.
- 공식 웹사이트에서 Sandboxie Plus (또는 Classic)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 설치 과정은 일반적인 프로그램 설치와 동일하며, 설치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본적인 샌드박스를 생성합니다. (기본적으로 ‘DefaultBox’라는 샌드박스가 생성됩니다.)
2.2. 카카오톡 실행 파일 경로 확인
듀얼로 실행할 카카오톡 PC버전의 실행 파일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 바탕화면에 있는 카카오톡 아이콘에 마우스를 가져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팝업 메뉴에서 ‘속성(Properties)’을 선택합니다.
- ‘속성’ 창에서 ‘대상(Target)’ 항목에 적혀있는 경로가 카카오톡 실행 파일(
.exe
)의 위치입니다. 일반적으로C:\Program Files (x86)\Kakao\KakaoTalk\KakaoTalk.exe
와 같은 형태입니다. 이 경로를 복사해둡니다.
2.3. 샌드박스로 카카오톡 ‘가상화’ 실행
이제 준비된 샌드박스 환경에서 두 번째 카카오톡을 실행할 차례입니다.
- Sandboxie Plus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Sandbox’를 선택하거나, 생성된 샌드박스 이름 (예: DefaultBox)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드롭다운 메뉴에서 ‘Run’ 또는 ‘프로그램 실행’을 선택하고, ‘Run Any Program’ (임의의 프로그램 실행)을 선택합니다.
- 새로운 창이 뜨면, 앞서 복사해 둔 카카오톡 실행 파일 경로를 붙여넣고 ‘확인’을 누릅니다.
- 잠시 후, 샌드박스 환경에서 실행된 새로운 카카오톡 로그인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은 일반적인 카카오톡 창과 구분하기 위해 창 테두리에 샌드박스를 나타내는 노란색 테두리 등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2.4. 두 번째 계정 로그인 및 사용
- 첫 번째 카카오톡 (일반적으로 실행된 카카오톡)에는 메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샌드박스를 통해 실행된 두 번째 카카오톡 로그인 창에는 서브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이제 여러분의 PC 화면에는 완벽하게 분리된 두 개의 카카오톡 창이 동시에 떠 있게 되며, 각각 다른 계정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방법 2: 포터블(Portable) 버전 파일과 일반 설치 버전 활용 (매우 쉽지만 별도 파일 관리 필요)
이 방법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카카오톡의 특성을 활용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입니다. 카카오톡 PC버전은 프로그램 파일과 사용자 정보 파일(로그인 정보, 캐시 등)이 분리되어 저장됩니다. 이 점을 이용해 일반 설치 버전과 별도의 ‘실행 파일 묶음’을 준비하여 마치 두 개의 독립된 카카오톡처럼 작동시키는 원리입니다. 여기서 ‘포터블 버전’이라 함은, 카카오톡을 설치하는 과정 없이 압축을 풀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든 파일 묶음을 의미합니다.
3.1. 카카오톡 포터블 버전 파일 준비
주의: 카카오톡 공식 배포 파일이 아니므로, 신뢰할 수 있는 경로에서 안전한 포터블 파일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안전하고 쉬운 방법은 직접 만드는 것입니다.
- 카카오톡 PC 버전을 정식으로 설치합니다. (이때 생성된 프로그램 파일이 원본입니다.)
- 설치된 경로 (
C:\Program Files (x86)\Kakao\KakaoTalk
등)로 이동하여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다른 위치(예: 바탕화면의 ‘KakaoTalk-Sub’ 폴더)로 통째로 복사합니다. - 참고: 이 복사된 폴더 자체가 ‘포터블 버전’ 역할을 수행합니다. PC에 설치된 원본 카카오톡과 달리, 이 폴더에서 실행하면 사용자 정보 등을 이 폴더 내부에 별도로 저장하게 되어 독립된 실행 환경을 갖게 됩니다.
3.2. 일반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가장 먼저, PC에 설치된 일반 카카오톡 PC 버전을 실행하고 메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3.3. 포터블 버전 실행 파일 실행
- 앞서 복사해 둔 ‘KakaoTalk-Sub’ 폴더로 이동합니다.
- 폴더 안에 있는
KakaoTalk.exe
실행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 시스템은 이 실행을 일반 설치 버전과 완전히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로그인 창이 뜨게 됩니다.
3.4. 각 버전별 계정 로그인 및 사용
- 일반 버전 카카오톡 창에는 메인 계정을 유지합니다.
- 새롭게 띄워진 포터블 버전 카카오톡 창에는 서브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이렇게 하면, 별도의 샌드박스 프로그램 없이도 두 개의 카카오톡 계정을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 방법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시 포터블 버전 파일도 수동으로 새로 복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나에게 맞는 카카오톡 듀얼 접속 방법 선택하기
두 가지 방법 모두 카카오톡 PC버전 2개를 동시에 실행하여 듀얼 계정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쉬운 방법입니다.
- 가장 안정적이고 업데이트 걱정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방법 1 (샌드박스 활용)을 추천합니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지만, 시스템적으로 완벽하게 격리되어 충돌 위험이 가장 낮고 안전합니다.
-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간단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방법 2 (포터블 버전 활용)를 추천합니다. 파일 복사 외에는 특별한 과정이 없어 매우 쉽지만, 카카오톡 업데이트 시 수동으로 포터블 파일을 다시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방법 중 여러분의 환경과 사용 목적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이제 번거로운 로그인/로그아웃 과정 없이 두 개의 카카오톡 계정을 PC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해 보세요.